여름 에어컨 뿐 아니라 겨울 전기히터 등 난방제품 사용으로 인한 전기요금이 걱정되는 분들 많으시리라 생각됩니다.
전기요금은 각 계약종별 누진세 등도 포함이 되기 때문에 쉽게 계산하기 어려운데요,
오늘은 인터넷을 통해 간단하게 전기요금 계산 하는 방법에 대해서 포스팅을 해보려고 합니다.
우리집 전기요금 얼마정도 나올 지 미리 계산해보고 싶으신 분들은 다들 오늘 포스팅을 참고로 하시면 좋을 것 같아요.
우선 전기요금 계산을 하기 위해서는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 홈페이지로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한국전력공사 사이버지점은 한국전력공사 전자민원센터로, 전기요금 조회/계산은 물론 비교, 온라인 납부, 민원신청, 접수, 고객상담과 요금제도 안내 등이 나와있는 곳인데요,
홈페이지로 들어가시면 위와 같이 화면이 나타나면서 중앙에 우리집 전기요금 미리보기, 상세조회, 요금납부, 요금계산 비교, 서식자료실, 세금계산서재발행 등등 바로가기 메뉴가 나와있습니다.
전기요금 계산을 하기 위해선 여기에서 요금계산비교를 클릭하시면 돼요.
요금계산비교로 들어가시면 전기요금계산기라며 계약종별로 전기요금을 계산할 수 있다고 나오는데요,
전기요금 청구액 계산방법은 TV수신료 별도이며, 1.기본요금, 2.사용량요금, 3.전기요금계=1+2-복지할인, 4.부가가치세=3x10%, 5.전력산업기반기금=3x3.7%, 6.청구요금합계=3+4+5입니다.
자동이체 할인 적용 시 계산은 a.상기 전기요금계(3) - (전월 납부 전기요금x0.01)[1,000원 한도], b.당월 청구요금=a+부가가치세(ax10%)+전력산업기반기금(ax3.7%)라고 하네요.
맨 아래에 보시면 전기요금계산기 바로가기라며 2021.01.01 개정후 버튼이 나와있는데요, 이를 눌러주세요.
그러면 위에서 말씀드린대로 계약종별선택을 먼저 하셔야 합니다.
계약종별선택은 주택용(저압/고압), 일반용(갑Ⅰ/갑Ⅱ/을), 1주택 수 가구, 교육용(갑/을), 산업용(갑Ⅰ/갑Ⅱ/을), 임시(갑/을300kw▼/을300kw▲/을300kw▼ 시간대별 요금사용), 가로등(을), 심야전력(갑), 농사용(갑/을)로 나뉘어져 있습니다.
저는 예시로 주택용(저압)을 선택하니 조건선택이라며, 주거구분과 대가족요금/생명유지장치요금과 복지할인요금 선택, 사용기간, 사용량 입력칸이 나타납니다.
여기에 원하는 값을 입력하여 전기요금 계산을 하실 수 있어요.
우측 하단의 전기요금표 보기 버튼을 누르시면 전기요금 구조와 주택용(저압/고압), 일반용(갑/을), 산업용(갑/을), 교육용(갑/을),
농사용, 가로등, 심야전력, 기타요금제(선택,전기차,보완), 일반사항으로 나뉘어 전기요금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주택용 전력(저압)의 경우에는 주거용 고객(아파트 고객 포함), 계약전력 3kW 이하의 고객을 대상으로 하며,
7월 1일부터 8월 31일 하계에는 300kWh 이하 사용 시 기본요금 910원, 전력량 요금 88.3원, 301~450kWh 사용 시 기본요금 1,600원, 전력량요금 182.9원, 450kWh 초과 시 기본요금 7,300원, 전력량요금 275.6원입니다.
기타계절에는 200kWh 이하/201~400kWh/400kWh 초과로 구분된다고 해요.
그 아래로 주택용전력 사용량별 전기요금 엑셀파일과 1주택수가구 사용량별 전기요금 엑셀파일 등이 첨부되어 있습니다.
마지막으로 주택용 전력 전기요금표도 안내드리려고 하는데요, 주택용 전력(고압)은 고압으로 공급받은 가정용 고객에게 적용되며,
하계에는 300kWh이하 사용 시 기본요금 730원, 전력량 요금 73.3원, 301~450kWh 사용 시 기본요금 1,260원, 전력량요금 142.3원, 450kWh 사용 시 기본요금 6,060원, 전력량요금 210.6원입니다.
주택용(저압) 전기요금표와 마찬가지로 기타계절은 200kWh 이하/201~400kWh/400kWh 초과로 구분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