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정보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금액 알아보기

by 1197 2020. 1. 8.

오늘도 좋은 하루를 보내고 계신가요? 어느새 2020년이 되어 한살을 더 먹었는데, 나이가 들수록 나이를 먹어가는 것에 대한 아쉬움이 있네요.


엄청 어릴 때는 빨리 어른이 되고 싶어서 시간이 빨리 흘렀으면 좋겠다고 생각한 적도 있는데 말이죠.




그래도 흘러가는 시간을 멈출 수는 없으니 주어진 시간을 허투로 흘려보내지 않고, 유용하게 쓸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습니다.


사설이 길었는데 아무튼, 오늘도 간단히 포스팅을 시작해볼까 해요. 



오늘 알려드리려고 하는 정보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금액 알아보기인데요,


주택연금은 집을 소유하고 있지만 소득은 부족한 어르신분들을 위한 제도로, 집을 담보로 맡기고 자기 집에 살면서 매달 국가가 보증하는 연금을 평생 또는 일정기간동안 받는 것입니다.



가입요건은 부부 중 1명이 만 60세 이상, 대한민국 국민이어야 하며, 부부기준 9억원 이하 주택 소유자여야 되는데요,


다주택자라도 합산가격이 9억원 이하라면 가능하다고 합니다. 9억원 초과 2주택자의 경우 3년 이내 1주택을 파는 경우 가입 가능하다고 해요.



위 사진은 주택연금 받는 방법에 대한 안내예요. 주택연금 수령방법 정하실 때 얼마동안 받을지,


매월 연금만 받을 것인지 목돈도 같이 받을 것인지, 어떻게 받을 것인지에 따라 선택을 하시면 되는데요,



평생 거주하며 평생동안 받는 방법으로는 종신방식과 대출상환방식, 우대방식 등이 있습니다.


종신방식의 경우 연금만 받는 것은 종신 지급방식, 목돈도 받는 것은 종신 혼합 방식(대출한도 50% 이내 수시인출)이고요,


우대방식은 연금만 받는 것을 우대 지급방식, 목돈도 받는 것을 우대혼합방식이라고 하며 우대혼합방식은 대출한도 45% 이내 수시인출 가능합니다.



평생 거주하며 일정기간동안 많이 받는 방법으로는 확정기간 방식이 있는데요, 확정기간방식은 짧은 기간동안 종신지급방식보다 더 많은 월지급금을 수령하실 수 있습니다.


연금만 받는 경우에도 대출한도의 5%는 인출한도로 설정하셔야 된다고 하며 가입 이후에는 지급기간 변경이 불가능하다고 하네요.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본격적으로 해보기 위해서는 한국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로 접속을 하셔야 합니다.


접속 후 주택담보대출, 주택보증, 주택연금, 신용회복, 국민참여, 공사소개, 정보공개 등의 상단메뉴에서 주택연금을 클릭해주세요.



그럼 그 아래로 주택연금 소개와 가입안내 내게 맞는 주택연금 찾기, 주택연금 이용현황, 예상연금 조회, 가입자 유의사항, 자주하는 질문, 용어설명, 오해와 진실, 소개자료, 서식자료실, 인터넷뱅킹 등


여러가지 소메뉴가 나타납니다. 여기에서는 예상연금조회 부분을 클릭하시면 돼요.



주택연금 수령액 알아보기 위해서는 먼저 주택소유자 생년월일과 배우자여부(있다면 생년월일), 주택구분, 시세검색을 해주셔야 합니다.


아파트의 경우에는 한국감정원 시세가 있으면 한국감정원 시세를 우선적용하고요, 없는 경우엔 kb시세를 적용하며,


최하층은 하한가, 나머지 층은 하한가와 상한가의 평균가를 적용합니다. 고객비용부담 조건으로 감정평가 신청도 가능한데 이 경우에는 시세와 감정가 중 높은 금액을 적용한다고 해요.



이후에는 지급방식과 월지급금 지급유형, 월지급금 지급기간, 그리고 인출한도설정금액을 설정해주시면 됩니다.


지급방식은 위에서 말씀을 드렸었는데요, 확정기간 방식은 부부 중 연소자가 만 55~74세인 경우에만 선택이 가능하다고 하네요.


지급유형은 정액형과 전후후박형으로 나누어 선택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연금지급방식은 종신방식(정액형)으로 임의로 입력하여 조회결과를 확인하니 최대인출한도는 50%, 73,780,000원, 월지급금은 874,050원으로 결과가 나오네요.


이렇게 해서 최대인출한도나 월지급금 등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하여 금액을 알아보실 수 있습니다.



단, 이와 같은 조회 결과는 조회날짜를 기준으로 한 예상금액이고요, 실제 월지급금과 인출한도 금액과는 차이가 날 수 있다는 점 알고 계시기 바랍니다.


여기까지 주택연금 수령액 계산 금액 알아보기에 대한 포스팅이었고요, 도움이 되는 정보였길 바라며 이번 글은 여기에서 이만 마무리 하도록 하겠습니다.



댓글